6C Program

Bio-Core

생명공학공동연구원의 코어랩 및 
산하연구소 운영을 통한 전문 연구 시스템, Bio-Core

생명공학공동연구원은 KIURI 연구단 참여연구원이 연구를 보다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코어랩, 오픈랩을 운영할 뿐만 아니라 
산하연구소인 바이오공학연구소, 생물정보학연구소를 운영하여 연구 여건 지원 및 인프라 강화에 전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바이오공학연구소

의학, 약학, 자연과학 등의 생명과학 관련 연구의 급속한 발전으로 파생되는 바이오  공학으로의 영역을 확대하고 있으며,산업체 능력의 유기적 결합 역할을 하고 교내  타전공과의 다학제 간 융합 연구의 산실로 타 기관과의 공동 연구개발 및네트워크를 구축합니다.

또한, 학술 연구 회의를 개최하고, 전문 인재의 양성을 위한 위탁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개설  및 기업체에 대한 기술 지도와기술 상담을 진행하고 있으며, 고가 공동 기자재를 보유한 공동  기기실을 운영하여 산학협력을 강화하고 있으며,산학 공동연구, 기술지도, 기술 이전 등 산학 협력 체제를 활성화 합니다.

바이오공학연구소

생물정보학연구소

생물정보학연구소는 생물학, 의학, 농학, 약리학, 통계학, 컴퓨터 공학, 정보학 등 기존의  다양한 학문들과의 협력관계를 더욱 발전시키고, 급격하게 증가하는 방대한 용량의 생물학적  데이터를 운용 공유하기 위한 인프라 및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연구원들의  연구를 지원하였습니다.

또한, 세계 대학 및 연구소들과 협력하여 학-연 대형 프로젝트를 발전시키고, 서울대학교  생물정보학 학제 간의 프로그램을 연계하여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관련 분야의  신진 전문 인재들을 양성하고 있습니다.

생물정보학연구소

Core-Lab

생명공학공동연구원 코어랩은 의학, 생물학, 공학을 융합하는 새로운 연구를 위해 MEMS 기술, 재료공학, 바이오공학, 광학 및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기술 등을 융합하여 맞춤의학을 위한 기술을 개발 중에  있습니다.

서울대학교 생명공학공동연구원의 인프라를 활용하여 의학적 미충족 수요가 존재하는 다양한 암종 및 자가 면역 질환에 대한 혁신 신약 개발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코어랩 내 단백질 배양, 정제 시설을  활용하여 약물 발굴 및 효능 평가를 수행하고 선도 물질을 도출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학제 간의 융·복합을 통한 맞춤의학 연구를 위하여 장비를 구입 및 직접 개발하였으며, 이러한 장비들을 활용하여 진행한 연구들로 Nature Biotechnology (IF 54.908) 등 우수한 저널에 논문을  지속적으로 내고 있습니다.

다양한 연구기관 및 병원과의 협업을 통해 기초 연구자와 임상의의 협력하여 공동 및 중개연구 플랫폼을 구축하였으며, 의학-생명과학 현장의 니즈를 해결하기 위해 핵심 문제를 제공받아 코어랩 및  산하연구소에서 전자공학, 컴퓨터공학, 생명공학 등 다양한 전공의 공학 전문 그룹을 결성하여 현장에 최적화된 혁신 기술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권성훈 교수님 연구실

Core Lab (BiNEL)  (81동 2층)

Biophotonics and Nano engineering Lab

권성훈 교수님 연구실 이미지

신영기 교수님 연구실

Core Lab(분자병리학 연구실)  (81동 3층)

신영기 교수님 연구실 이미지

기술 혁신을 통한 High-impact 연구와 중개의학 연구를 통한 Real-world impact창출!

최근 2년 내에 Nature 본지 2편, Nature reviews cancer 포함 10편의 Nature 자매지 출간

관련사진
  • 2022.01Nature Biotechnology

    초고순도 DNA 정제 기술

  • 2022.05Nature Communications

    유방암 공간 전사체 분석

  • 2022.08Nature Biomedical Engineering

    병리 이미지 분석 딥러닝 모델 개발

  • 2023.02Nature Reviews Cancer

    SLACS가 암연구에 필요한 신기술로 인정

  • 2023.06Nature Communications

    소프트 로보틱스

  • 2023.07Nature

    자가조립 Micro-LED

  • 2023.08Nature Communications

    비용 효율적인 공간 유전체 기술 개발

  • 2024.02Molecular Cancer

    SLACS를 이용한 공간멀티오믹스

  • 2024.04Nature Communications

    면역영상화기술을 이용한 벡신기작연구

  • 2024.07Nature

    배양이 필요 없는 초고속 올인원 패혈증진단

코어랩을 통한 중개연구

Helping life scientists with technology

40여개 병원연구 그룹/생명공학연구그룹과 공동연구

  • Junho Chung (Dept. of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 SNUH)

    B cell profiling for novel antibody discovery

  • Inhee Mook-Jung (Dept. of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 SNUH)

    B cell profiling for identifying diagnostic parameters in Alzheimer's disease patients

  • Wan Beom Park (Dept. of Internal Medicine, SNUH)

    B cell profiling for infectious disease patients analysis

  • Wan Beom Park (Dept. of Internal Medicine, SNUH)

    B cell profiling for infectious disease patients analysis

  • Hyori Kim (Asan Institute for Life Sciences)

    B cell profiling for lung cancer patients analysis

  • Sung-Min Kim (Dept. of Neurology, SNUH)

    B cell profiling of B cells in auto-immune disease patients' blood

  • Seungwoo Kim (Dept. of Neurology, Yonsei University)

    B cell profiling of B cells in auto-immune disease patients' blood

  • Junsun Kim (Dept. of Neurology, SNUH)

    B cell profiling of B cells in auto-immune disease patients' blood

  • Yongbum Kim (Dep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SNUBH)

    Antibody repertoire profiling of ovarian cancer patients

  • Kyu Eun Lee (Dept. of surgery, SNUH)

    Antibody repertoire profiling for novel antibody discovery

  • Wonshik Han (Dept. of breast surgery, SNUH)

    DNA seq for discovering genetic heterogeneity in breast cancer

  • Yongsang Song (Dep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SNUH)

    DNA seq for sequencing cell clusters in hydrops abdominis of ovarian cancer

  • Dongsoon Lee (Dept of laboratory medicine, SNUH)

    DNA seq for mutation profiling in leukemic cell lineages

  • Misuk Jang (Dept of Oral Anatomy, SNUDH)

    DNA seq for discovering genetic background in Schizophrenia development

  • Taeyu Kim (Dept of Medical oncology, SNUH)

    DNA seq for cancer stem cell sequencing in colon cancer

  • Dongsoo Lee (Dept. of nuclear medicine, SNUH)

    RNA seq for activated neurons and deactivated neurons

  • Ji Yeon Lee (Dept of Pediatric Nuerosurgery, SNUH)

    RNA seq for embryogenesis and DNA seq for cortical dysplasia

  • Jungpyo Lee (Dept of Nephrology, SNUH)

    RNA seq for renal diseases

  • Sangwan Kim (Dept of Internal medicine, SNUH)

    RNA seq for bone tissues

  • Duhee Bang (Department of Chemistry, Yonsei University)

    Single cell genomics biochemistry

  • Youngjun Chae (Boramae hospital, SNUH)

    Mutation profiling in Thyroid cancer

  • Helene Andersson-Svahn (KTH)

    Single cell genomics technology

  • Mats Nilsson (Stockholm University)

    Technology for DNA/RNA sequencing from the same cells

  • Aman Russom (KTH)

    inige cell genomics technology

  • close